SPC그룹, 8시간 초과 야근 전면 폐지…3조 3교대 도입으로 안전 강화

연이은 공장 사망 사고로 논란을 빚은 SPC그룹이 내달부터 생산직 근로자의 장시간 야간 근무를 없애고, 교대제 개편과 추가 고용을 통해 안전 강화에 나선다.

SPC그룹은 27일 “오는 9월 1일부터 전체 계열사 생산 현장에서 야간 8시간 초과 근무를 전면 폐지한다”며 “3조 3교대 또는 중간조 운영을 도입한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달 이재명 대통령이 SPC삼립 시화공장을 방문해 장시간 야근 체제를 비판한 뒤, SPC가 내놓은 개선안을 당초 계획보다 한 달 앞당겨 시행하는 것이다.

3조 3교대·중간조 운영 도입

SPC삼립과 샤니 공장은 3조 3교대로 전환하며, SPL과 비알코리아 공장은 야간 근무 축소로 생긴 공백을 메우기 위해 중간조를 운영한다. 이에 따라 지난 5월 사망 사고가 발생한 SPC삼립 시화공장 베이커리 라인의 경우, 주 6일 3교대 근무로 전환되며 주당 근로시간은 52시간에서 48시간 이하로 줄어들 전망이다.

추가 고용·임금 보완책 마련

SPC는 이번 근무제 개편으로 약 250명을 추가 고용한다고 밝혔다. 이는 전체 생산 인력(6,500여 명)의 약 4% 증가에 해당한다. 근로시간 단축으로 인한 임금 감소 우려와 관련해 기본급 인상, 휴일·야간수당 가산율 상향, 특별수당 신설 등의 보완책도 제시됐다.

  • SPC삼립: 기본급 인상, 휴일수당 가산율 50%→75% 상향
  • SPL: 야간수당 가산율 50%→79% 상향, 특별수당 신설

SPC는 노사 간 협의를 통해 임금 보전 대책에 잠정 합의했으며, 추가 조정은 향후 단체협약을 통해 이어갈 계획이다.

안전 강화와 비용 부담

SPC는 이번 개편으로 연간 약 330억 원의 추가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지난해 SPC그룹 전체 영업이익(768억 원)의 약 43%에 해당하는 규모다. 그룹은 9월 한 달간 새 제도를 시범 운영하고, 10월 1일부터 정식 시행해 안정적으로 안착시키겠다고 밝혔다.

SPC 관계자는 “근로자 안전 강화를 위해 각 사 교섭대표 노동조합과 최선의 방향을 모색했다”며 “근무제 개편과 함께 현장의 작업중지권 강화, 스마트 신공장 건립 등도 추진해 안전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연이은 산업재해가 불러온 변화

앞서 지난 5월 경기 시흥 SPC삼립 시화공장에서 50대 여성 노동자가 크림빵 냉각 컨베이어에 끼여 숨졌으며, 2022년 SPL 평택공장, 2023년 샤니 성남공장에서도 유사한 사망 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달 시화공장을 찾아 “일주일에 나흘을 12시간 야간 근무하는 체제가 가능한 일이냐”며 강하게 비판했고, SPC는 이틀 만에 개선안을 내놓았다.

이번 조치는 SPC가 반복된 중대재해에 대한 사회적 질타 속에서 내놓은 첫 구조적 변화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