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데이터센터, 수도권 아닌 전력 안정 지역으로… “인력·세제지원 필요”

AI 산업 확대에 따라 데이터센터 수요 급증… 전력과 인프라 균형 요구

AI 산업 확산 속에서 인공지능 데이터센터의 입지 조건으로 전력 수급 안정성이 주요 요소로 부상하고 있다. 주요 전력 생산시설 인근 지역에 데이터센터를 유치하되, 인력 양성 및 세제 지원 등 후속 대책도 병행되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7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지속가능한 AI데이터센터 구축 전략 세미나’에서 하민용 SK텔레콤 AIDC사업부 부사장은 “AWS와 협력해 울산에 데이터센터를 짓는 결정을 내린 배경에는 전력 공급의 안정성이 큰 역할을 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전력 확보는 가능했지만, 전문 인력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고 말하며 지역의 인프라 부족 문제를 지적했다.

현재 SK텔레콤과 네이버 등 주요 IT 기업들은 영남권, 충청권 등 전력 생산이 용이한 지역에 대규모 데이터센터 구축에 나서고 있다. 이들 지역은 원자력, 화력, 재생에너지 기반 발전소가 밀집해 있어 대용량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I데이터센터는 하루 수천 가구의 전기 사용량에 맞먹는 10~100MW 수준의 전력을 소모하는 것으로 알려져, 수도권 내 신규 구축은 송전망 한계로 인해 사실상 어려운 상황이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AI데이터센터의 수도권 건립은 신도시 몇 곳을 새로 만드는 것과 같은 수준”이라며 전력 수급 한계를 지적했다.

하지만 전력 수급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는 것이 업계의 입장이다. 지역 내 전문 인력 부족과 열악한 생활 인프라가 기업의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 부사장은 “지역 대학·연구기관과의 협력을 통한 인재 양성, 주거와 문화 인프라 확충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재생에너지나 소형 원자로(SMR) 전력 사용 시 전기요금 감면 등 정책적 유인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데이터센터가 전자파로 건강에 해를 끼친다는 일부 지역의 오해에 대해서는 관계 부처가 전자파 신호등 설치 등 인식 개선에 나서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전문가와 함께 데이터센터가 ‘유해시설’이 아니라는 점을 지역사회에 지속적으로 설명할 계획이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