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2년, 소행성 ‘2024 YR4’ 달과 충돌 가능성…지구 유성우 및 위성 피해 우려

지름 60m급 소행성, 달 충돌 확률 4.3%…천문학계 “5천 년 만의 대규모 충돌 가능성”

지구를 향해 접근 중인 소행성 ‘2024 YR4’가 오는 2032년 달과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며 천문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23일(현지시간) 천문학자들의 분석을 인용해, 이 소행성이 달과 충돌할 확률이 약 4.3%에 이르며, 이 경우 지구에 상당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보도했다.

‘2024 YR4’는 지름이 약 53~67미터로 추정되며, 현재로서는 지구에 직접 충돌할 가능성은 0.0017%에 불과하다. 그러나 달과의 충돌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높고,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의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한 추정 결과에 따르면 실제 충돌이 발생할 경우 달 표면에는 지름 약 1km 규모의 대형 분화구가 형성될 것으로 보인다.

해당 예측은 캐나다 웨스턴온타리오대와 애서배스카대 소속 연구진이 이달 초 발표한 논문 초안에서 제시됐다. 연구에 따르면 달 충돌 이후 수백만 킬로그램의 파편이 며칠 내로 지구를 향해 낙하할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지구에서는 대규모 유성우 현상이 목격될 가능성이 있다.

천문학자들은 대부분의 파편은 지구 대기권 진입 과정에서 마찰열로 소멸할 것으로 보고 있지만, 일부 잔해는 지구 궤도에 남아 인공위성과의 충돌 위험성을 높일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일부 전문가들은 향후 우주 관측 및 위성 운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소행성 충돌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NASA는 지난 2022년 ‘디모포스’라는 소행성에 DART 우주선을 충돌시켜 궤도를 변경하는 데 성공한 바 있다. 이는 지구 방어 차원의 실험으로, 향후 유사 상황 발생 시 우주물체의 궤적을 바꾸는 ‘행성 방어’ 기술이 실현 가능함을 입증했다.

다만 소행성 2024 YR4는 현재 지구로부터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 정확한 크기와 궤도 예측은 어려운 상태다. NASA는 보다 정밀한 예측이 가능해지는 시점을 2028년으로 보고 있다.

한편 일각에서는 소행성이 달에 충돌할 경우 달의 공전 궤도에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지만, NASA는 지난 4월 발표한 보고서에서 이 가능성은 극히 낮다고 결론지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