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 SW 업계도 AI 코딩 도입 본격화…개발 생산성 대폭 향상 기대

오케스트로·큐브리드·마드라스체크 등 AI 코딩 도구 ‘커서’ 전사 도입 추진

중소 소프트웨어(SW) 업계가 인공지능(AI) 기반 코딩 도구 도입을 확대하며 개발 생산성 혁신에 나서고 있다. 대기업에 이어 중소기업들도 AI의 실질적 효용성을 체감하며 전사적 도입을 추진하는 분위기다.

4일 업계에 따르면, 클라우드 전문기업 오케스트로는 AI 코딩 도구 ‘커서(Cursor)’를 다음 달부터 전 개발직군에 적용할 계획이다. 커서는 자연어로 개발 명령을 내릴 수 있어 초보자도 쉽게 코드를 작성할 수 있도록 돕는 AI 기반 서비스다. 예를 들어 버튼 클릭 시 새 창을 여는 코드를 작성하거나, 오류 여부를 탐지하는 명령을 말로 입력하면 자동으로 코드를 생성하거나 오류를 분석해준다.

오케스트로는 최근까지 일부 개발 인력을 대상으로 유료 커서 서비스를 지원해 왔으며, 이달 한 달간 시범 운영을 거쳐 8월부터 전체 개발자 500여 명에게 본격 제공한다. 오케스트로 전체 직원 중 약 85%가 개발직군으로, 사실상 전사 차원의 AI 도입이다.

오픈소스 데이터베이스 기업 큐브리드도 최근 커서를 전 개발 인력에 도입했으며, 협업툴 1위 기업 마드라스체크 또한 일부 지원에서 전체 개발직군으로 확대 적용에 나섰다.

해당 기업들은 AI 코딩 도구 도입이 업무 효율성을 크게 높인다고 입을 모은다. 오케스트로가 AI연구소 직원 대상으로 실시한 사내 설문조사에서는 응답자의 83%가 “생산성과 효율성이 높아졌다”고 답했으며, 반대 의견은 없었다. 중급 이상 개발자 기준으로 최대 5배까지 생산성이 향상됐다는 분석도 나온다.

업계는 향후 AI 도구 활용이 더 확산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마드라스체크 이학준 대표는 “AI 지원을 받는 개발자의 코딩 시간은 기존 대비 뚜렷하게 단축됐다”며 “생산성이 향상된 만큼 도입을 망설일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AI 도구가 초급 개발자를 대체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지만, 단순한 비용 절감보다는 교육과 조직 차원의 활용 전략이 더 중요하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박소아 오케스트로클라우드 대표는 “도구를 도입하는 것보다 어떻게 활용할지를 고민해야 한다”며 “전담 조직 신설, 맞춤형 교육, 사례 공유 등 체계적인 준비가 동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AI 기술을 통해 중소 SW 기업들이 개발 경쟁력을 강화하면서, 산업 전반의 기술 혁신이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