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호르무즈 해협 봉쇄 의결…최고안보회의 결정만 남아

중동 긴장 고조 속 국제 유가 급등 우려

이란 의회가 미국의 핵시설 공습에 대한 대응 조치로 세계 원유 수송의 핵심 통로인 호르무즈 해협 봉쇄를 의결했다. 이번 조치는 최고국가안보회의(SNSC)의 최종 승인을 앞두고 있으며, 승인 시 실제 봉쇄가 이루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전망이다.

이란 국영 언론 프레스TV에 따르면, 의회 국가안보위원장 에스마일 쿠사리는 22일(현지시간) “호르무즈 해협의 통항을 차단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고 밝혔다. 그는 “최종 결정은 최고국가안보회의의 손에 달려 있다”고 설명했다.

호르무즈 해협은 가장 좁은 곳의 폭이 약 33㎞에 불과한 전략적 요충지로, 페르시아만의 입구에 위치해 있다. 이곳은 전 세계 원유 수송량의 약 25%, 액화천연가스(LNG) 수송량의 약 20%가 지나는 통로로, 이란은 이 해협을 군사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

국제 사회는 이번 의회 결정이 실제 봉쇄로 이어질 경우 세계 원유 공급망에 막대한 타격을 줄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특히 이미 중동 긴장 고조로 비트코인 등 위험 자산 가격이 하락하고 있는 가운데, 국제 유가가 급등하며 글로벌 경제 전반에 충격을 줄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이란이 호르무즈 해협을 완전히 봉쇄한 전례는 없지만, 1980년대 이란-이라크 전쟁 당시 양국은 상대 유조선과 상선을 공격하거나 기뢰를 설치해 해상 통로를 위협한 바 있다.

전문가들은 이란이 실제 봉쇄에 나설 경우 미국 및 서방 국가들과의 군사적 충돌 가능성까지 열어두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미국은 해당 해역의 안전을 위한 해군 전력을 지속적으로 운용 중이며, 해협 차단 시 즉각 대응할 것이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