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이스라엘 공격 이후 내부 숙청 강화…“처형·체포·편집증의 폭풍”

이스라엘과의 무력 충돌로 군 지휘부와 핵 과학자 등 핵심 인사를 잃은 이란이 전례 없는 수준의 내부 숙청 작업에 돌입했다. 정전 이후 오히려 국내 보안 통제와 탄압 수위가 높아지면서 국제사회는 이란 내부의 인권 상황을 우려하고 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8일(현지시간) “이란 전역에서 ‘처형, 체포, 편집증의 폭풍’이 몰아치고 있다”고 보도했다. 보안 당국은 테헤란을 비롯한 주요 도시에 검문소를 다수 설치해 시민 검문을 강화하고 있으며, 간첩 혐의자와 반체제 인사, 정권 비판 인물들에 대한 체포와 처형도 진행 중이다.

특히 이란 정부는 이스라엘과의 전쟁에서 수십 명의 핵심 인력이 제거된 배경에 내부 정보 유출이 있었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스라엘의 조력자”로 의심되는 인물들을 색출하기 위해 수백 명을 체포하고, 일부는 이미 공개 처형한 것으로 알려졌다. 심문 장면을 의도적으로 공개하는 등, 공포 분위기를 조성하는 방식도 동원되고 있다.

노벨 평화상 수상자이자 이란 인권운동가 나르게스 모하마디는 “전쟁이 끝났지만 이란 국민의 상황은 이전보다 훨씬 더 위험하다”며, “정권은 위기를 기회로 삼아 권력 공고화를 위한 탄압 수위를 높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국제인권단체 앰네스티에 따르면 지난 2주 동안 이스라엘을 도운 혐의로 체포된 사람만 1,000여 명에 달한다. 그 외에도 통신망 통제, 정보 유출 가능성을 이유로 한 메신저 서비스 차단 등이 이어지고 있으며, 인터넷 사용 역시 여전히 제한적이다.

또한 이란 정부는 주민 간 상호 감시 체계를 강화하고 있으며, 거리에서는 마스크·모자·선글라스 착용자에 대한 감시도 늘어난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간첩 색출”을 명분으로 시민들에게 야간 외출 자제와 주변 사람 신고를 독려하고 있다.

이번 사태는 단순한 정보 보안 차원을 넘어선 ‘정권 안보 강화 작업’으로 분석되며, 전문가들은 이란 내 인권 침해와 사회 불안이 더욱 심화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