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적자 확대와 금리 상승 배경…국채금리·증시 영향 불가피할 듯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가 108년 만에 미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에 충격이 확산되고 있다.
무디스는 현지시간 16일, 미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기존 최고등급인 ‘Aaa’에서 ‘Aa1’으로 한 단계 낮췄다. 이번 등급 강등은 1917년 이후 처음이며,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의 2011년 강등, 피치의 2023년 강등에 이어 세 번째 사례다. 등급 전망은 기존 ’부정적(Negative)’에서 ’안정적(Stable)’으로 조정됐다.
무디스는 보고서에서 “지난 10년간 미국 연방정부의 부채는 지속적인 재정적자로 인해 급격히 증가했다”며 “감세 정책으로 재정 수입이 줄어든 반면 지출은 늘어나 재정 여건이 악화됐다”고 평가했다. 특히 금리 상승과 맞물리며 국채 이자 부담이 빠르게 증가한 점이 등급 강등의 주된 배경으로 지목됐다.
이번 조정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 중인 대규모 감세 정책과도 연관이 있다. 감세가 본격화될 경우, 재정수지 악화 우려가 커질 수 있다는 점에서 금융시장 참여자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미국 국채금리의 추가 상승 가능성과 함께 글로벌 주식시장에 부담 요인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미 국채는 안전자산으로 간주돼 왔으나, 신용등급 강등은 투자자 신뢰에도 일정 부분 영향을 줄 수 있다.
다만 무디스는 “미국 경제가 여전히 세계에서 가장 크고 유연한 경제 중 하나로, 위기 상황에서도 회복력이 강하다”며 등급 전망을 안정적으로 유지한 배경을 설명했다.
한편, 미국 정부는 이번 신용등급 하향을 계기로 재정지출과 부채 관리를 중심으로 한 예산·금융정책 조정에 나설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향후 통화정책 및 통상정책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