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간 과거사 충돌…유네스코서 일본 수정안 가결되며 한국 입장 좌절

일제 강제동원 현장인 일본 하시마(군함도) 탄광의 세계유산 등재와 관련한 일본의 후속 조치를 유네스코 차원에서 정식 평가하려던 한국 정부의 시도가 무산됐다.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회의에서 한국이 제안한 관련 안건의 정식 의제 상정이 일본의 반대로 가결되지 못한 것이다.
7일(현지시간) 열린 회의에서 한국은 일본이 세계유산 등재 당시 약속했던 조선인 강제동원 사실의 알림 조치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다며, 이번 회의에서 이를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일본은 이 문제를 유네스코가 아닌 양국 간의 협의로 해결해야 한다는 입장을 내세우며 해당 안건의 삭제를 요구했다.
양측 입장이 평행선을 달리자 사상 초유의 비밀투표가 실시됐고, 일본의 수정안이 찬성 7, 반대 3으로 통과됐다. 이로써 이번 회의에서 하시마 관련 문제는 정식 안건으로 채택되지 못했으며, 향후 유네스코 차원에서 재논의도 사실상 어려워졌다.
군함도로 알려진 하시마는 2015년 일본이 산업유산으로 등재한 장소로, 당시 일본은 조선인의 강제노동 사실을 알리는 후속 조치를 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2020년 개관한 도쿄의 정보센터에서도 해당 사실을 언급하지 않아 국제사회의 비판을 받아왔다.
한국 정부는 일본의 부실한 조치에 대한 외교적 대응을 계속 이어가겠다고 밝혔지만, 유네스코 차원에서의 논의가 어렵게 되면서 외교적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결과는 한일 관계에 또 다른 긴장 요소로 작용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