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무인기 도발 유도 의혹”…합참도 작전 알고 있었다는 정황 포착

무인기 침투 전 보고 정황·장교 녹취 확보…작전 실체 규명 요구 높아져

윤석열 정부가 북한의 군사 도발을 유도하기 위해 무인기를 북측에 보냈다는 의혹과 관련해, 합동참모본부가 해당 작전을 사전에 인지하고 있었던 정황이 드러났다.

최근 특별수사팀은 작전에 참여한 군 장교의 진술 녹취를 확보했으며, 그에 따르면 무인기가 북한 영공에 접근하기 전 드론작전사령부 요원들이 불안한 기색을 보이며 합참 작전본부장 측에 수차례 연락을 취한 사실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작전 실행이 사전에 합참에 보고되었고, 일각에서는 의도적으로 북측에 무인기를 노출시킨 것이 아니냐는 의혹으로 이어지고 있다.

앞서 북한은 지난해 10월 평양에 침투한 무인기를 격추했다고 주장하며 해당 기체의 사진을 공개한 바 있다. 당시 우리 국방과학연구소는 해당 기체와 우리 군 무인기의 외형 및 부품이 상당히 유사하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군은 이와 관련해 “어떠한 도발 유도나 계엄 목적의 작전도 없었다”고 강하게 부인한 바 있으며, 당시 합참의장은 “직을 걸고 해당 내용은 사실이 아니다”고 밝히기도 했다.

하지만 특검팀이 확보한 장교의 녹취에는 “이 작전이 대통령의 직접 지시에 따른 것으로 알고 있으며, 국민의 불안감을 고조시키기 위해 무인기를 일부러 노출시킬 필요가 있었다”는 발언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드론작전사령부는 작전과 유사한 시기인 지난해 10월과 12월 각각 소형 무인기 1대를 분실했으며, 국방부 감사관실은 이 사안에 대해 ‘원인 미상’이라는 결론을 낸 것으로 확인됐다.

이러한 정황들이 겹치며 합참이 단순히 보고를 받았을 뿐이라는 해명에 대한 의문이 커지고 있다. 군의 고위 지휘라인이 작전에 얼마나 관여했는지를 규명해야 한다는 목소리와 함께, 군의 정치적 중립성과 투명성에 대한 국민적 불신도 커지고 있다.

특검팀은 합참 작전본부 관계자와 드론작전사령관의 면담 일지 및 추가 녹취를 분석하며 수사의 강도를 높이고 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